목록전체 글 (161)
Data Modeling Evangelist Kaien Kim's Blog

저희 첫 째가(만3세) 요즘 식욕 폭발로 몸무게가 5kg을 넘어 다이어트 사료(오리젠 피트&트림)를 먹이고 있었습니다. 이 사료도 물론 아주 잘 먹습니다. 그러던 중 우연히 베스트브리드 홀리스틱 캣다이어트 체험단 모집 공고를 보게되었습니다. 바로 문제의 첫 째가 1살 무렵(중성화 이후) 베스트브리드 그레인프리켓다이어트를 먹였었는데, 처음에는 잘 먹다가 어느순간부터 깨작깨작 먹기시작하여 기호성 좋고 성분좋다던 로우즈로 바꾸고 쭉~먹이다. 체중관계로 오리젠피트&트림으로 먹이고 있는 중이었습니다. 결론 사료를 개봉하는 순간 주변에 와서 계속 관심을 보이다. 식기에 담아주니 숨도쉬지않고 먹었습니다. 한 보름정도 먹이고 있는데 지금도 역시 아주 잘 먹습니다. 이제 얼마 안남았는데 그냥 이 사료로 쭈~욱 먹이려..

어느날 나의 오랜 친구가 한 자전거를 소개시켜줬다. 그 놈을 보자마자 운명처럼 빠져들어버렸고, 미친듯이 미니벨로 장터에서 몰튼을 찾게 되었다. 어느날 마음에 쏙 드는 녀석이 나타났고, 나를 몰튼에 세계로 인도한 그 놈과 대구까지가서 그 녀석을 맞이하러 갔다. 이게 그 녀석과의 첫 만남이었다.

What is AWS Direct Connect? AWS Direct Connect는 고객의 On-premise에서 AWS로 전용 네트워크 연결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솔루션입니다. AWS Direct Connect를 사용하면 AWS와 데이터 센터, 사무실 또는 코로케이션 환경 간에 사설 연결을 설정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대부분 네트워크 비용을 줄이고 대역폭 처리량을 높이며 인터넷 기반보다 일관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 AWS Direct Connect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와 AWS Direct Connect 위치 중 하나 사이에 전용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업계 표준 802.1q VLAN을 사용하여 이 전용 연결을 여러 가상 인터페이스로 분할할 수 있습니다..
항상 그러하듯이 'Subtyping'에 대해 일단 정의부터 내려보자. Subtyping은 엔터티가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엔터티 內 공통속성을 그룹화화는 과정이다. 위 정의에는 데이터모델링에 대한(특히 엔터티에 대한) 많은 개념이 들어가 있다. 위 정의를 바탕으로 Subtype/Subtyping에 대해 살펴보자. 엔터티의 독립성1)을 유지한 상태로 엔터티 내 공통속성을 그룹화하는 과정이라고 했는데, 공통속성 그룹화를 하는 이유는(즉, Subtype을 도출하는 이유는) 아래와 같다. - 커뮤니케이션을 향상 시킬 수 있다. - 모델단에서 강제적으로 비즈니스 룰을 적용하여 향후 데이터 정합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. 간혹, 엔터티 통합/분할의 관점에서 Subtype을 얘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맞는 얘기이긴 하지만..